북한의 암호화폐 탈취가 주요 제재 회피 수단으로 부각되는 가운데 미국 정부가 이 과정에서 악용되는 ‘믹서’를 더 제재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습니다.
미국 민간연구소인 신미국안보센터(CNAS)의 제이슨 바틀렛 연구원은 17일 북한의 암호화폐 탈취에 대한 미국의 최근 잇따른 제재와 관련해 “첨단 금융기술 남용을 겨냥한 적절한 조치“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의 암호화폐 탈취와 돈세탁에 활용되는 더 많은 ‘믹서’를 추적해 제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VOA가 전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계속해서 북한의 사이버 범죄자들이 악용하는 기술을 사용하거나 이런 기술을 제공하는 행위자를 겨냥할 수 있으며 그중 하나가 ‘믹서’ 제재라고 설명했습니다.
‘믹서’는 가상화폐를 쪼개고 섞어서 재분배하는 기술로 이 과정을 반복하면 자금 추적과 사용처, 현금화 여부 등 가상화폐 거래 추적이 어렵습니다.
바틀렛 연구원은 북한 해커들이 계속해서 악용하는 더 큰 규모의 ‘믹서’가 있지만 미국 정부가 아직 대응하지 않고 있다며 이에 대한 추가 제재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이와 관련해 사이버 보안업체와 민간연구소 등이 제공한 풍부한 연구 자료가 있다며 정부가 이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함께 암호화폐 거래소의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전통 금융기관과 유사한 규제 방안을 도입하고 정보 수집과 교환, 법 집행 부문에서 민관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국과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패널 등은 새로운 대북제재 회피 수단으로 북한의 암호화폐 탈취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지난 4월 공개된 전문가패널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2020년부터 2021년 중반까지 북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등 최소 3곳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모두 5,000만 달러 이상을 훔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암호화폐 분석업체 미국 체인어낼리시스는 북한이 지난해 탈취한 암호화폐가 약 4억 달러에 달한다고 추산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미국 재무부는 지난 4월 북한 정찰총국 지휘를 받는 것으로 알려진 해킹 그룹 ‘라자루스’와 연관된 이더리움 지갑 4개를 제재 대상에 올렸습니다.
또 북한이 탈취한 암호화폐를 현금화해주는 ‘믹서’ 담당 업체 ‘블렌더’를 제재하는 등 북한의 암호화폐 탈취를 겨냥한 잇따른 조치를 내놓고 있습니다.